dangerouslySetInnerHTML Attribute And XSS Attack
RECOMMEND POSTS BEFORE THIS
- 반사형 XSS(Reflected Cross Site Scripting) 공격과 방어
- 저장형 XSS(Stored Cross Site Scripting) 공격과 방어
- DOM 기반 XSS(DOM based Cross Site Scripting) 공격과 방어
1.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Attribute)
기능(feature)에 따라 HTML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React
라이브러리는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으로 HTML 코드를 그대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위험한 방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예제 코드를 살펴본 후에 알아보겠습니다.
1.1. 예제 코드
간단한 예제 코드를 통해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 사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App
함수를 정의합니다.htmlCode
함수를 통해 HTML 코드를__html
키에 매칭한 객체를 반환합니다.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에htmlCode
함수의 반환 값을 전달하는div
블록을 반환합니다.
ReactDOM.render
함수를 통해App
함수의 결과를 렌더링(rendering)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Jost:wght@400;700&display=swap" rel="styleshee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7/umd/react.production.min.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7/umd/react-dom.production.min.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babel-standalone@6/babel.min.js"></script>
</head>
<body>
<section id="demo"></section>
</body>
<script type="text/jsx">
const App = () => {
const htmlCode = () => {
return {__html: '<ul><li>Hello</li><li>React</li><li>World</li></ul>'}
}
return <div dangerouslySetInnerHTML={htmlCode()}></div>
}
ReactDOM.render(
<App/>,
document.getElementById('demo')
)
</script>
<style>
* {
box-sizing: border-box;
}
html {
font-family: 'Jost', sans-serif;
}
body {
margin: 0;
}
#demo {
border: 1px solid #ccc;
}
#demo {
margin: 1rem auto;
width: 50%;
}
</style>
</html>
결과
htmlCode
함수에서 반환하는 HTML 코드가 화면에 비순차 리스트 형태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XSS(Cross Site Script) 공격에 대한 취약성
HTML 코드를 화면에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XSS 공격에 취약합니다. XSS 공격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뤄집니다.
- 공격자가 악성 스크립트(script) 코드를 HTML 문서에 삽입합니다.
- 악성 스크립트는 쿠키에 담긴 개인 정보나 사용자 권한을 가진 비밀 키를 빼내는 코드라고 가정하겠습니다.
- 공격자는 악성 스크립트가 담긴 HTML 문서를 일반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 일반 사용자가 공격 HTML 문서를 자신의 브라우저에서 열면 악성 스크립트가 실행됩니다.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를 사용하면 HTML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함께 전달된 스크립트가 실행됩니다.
때문에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는 XSS 공격에 취약합니다.
외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검증 없이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를 통해 화면에 직접 출력하는 것은 지양해야합니다.
2.1. 예제 코드
dangerouslySetInnerHTML
속성를 사용할 때 스크립트 코드가 실행되는지 예제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htmlCode
함수는 이미지 태그를 이용하여alert
함수를 실행하는 코드를 담은 객체를 반환합니다.- 이미지 태그의 크기를 0으로 만들어 화면에서 보이지 않게 만듭니다.
- 해당 HTML 문서를 화면에서 확인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link href="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Jost:wght@400;700&display=swap" rel="styleshee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7/umd/react.production.min.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7/umd/react-dom.production.min.js"></script>
<script src="https://unpkg.com/babel-standalone@6/babel.min.js"></script>
</head>
<body>
<section id="demo"></section>
</body>
<script type="text/jsx">
const App = () => {
const htmlCode = () => {
return {__html: '<img src=x onerror=alert("당신의_쿠키_정보를_빼돌렸습니다.") width="0" height="0">'}
}
return <div dangerouslySetInnerHTML={htmlCode()}></div>
}
ReactDOM.render(
<App/>,
document.getElementById('demo')
)
</script>
<style>
* {
box-sizing: border-box;
}
html {
font-family: 'Jost', sans-serif;
}
body {
margin: 0;
}
#demo {
border: 1px solid #ccc;
}
#demo {
margin: 1rem auto;
width: 50%;
}
</style>
</html>
결과
onerror
이벤트에 지정된alert
함수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남기기